알루미늄 호일 유해성

알루미늄 호일 유해성 알루미늄 호일을 집 안에서 쓸 일은 그다지 없을지도 모르지만 밖에 나가거나 소풍, 레저, 여행 등 활동을 할 때 자주 쓰고 쓰이고는 한다. 이것의 유해성으로 말도 많은 실정이다. 최근 레트로 열풍이 일어났다. 알루미늄으로 된 소재로 굽는 냉동 삼겹살 식당이 바쁘다. 일부 식당은 평일에도 최소 대기 시간이 1시간 이상이다. 이런 인기 속에서 일부 이용객은 이렇게 말했다. 알루미늄 호일에 고기를 구우면 몸에 해롭다. 과거 추억 살려서 한 번 정도는 괜찮다. 알루미늄을 써서 굽는 음식은 정말로 해로운 걸까? 지난 2일 식약품에 따르면 이렇다. 지금 식기를 통해 섭취 중인 알루미늄 양은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흡수되더라도 신장에서 걸러져 배출이 된다. 알루미늄이 노출돼도 1% 정도만 체내 흡수가 되며 대부분 소변으로 나간다. 국내 알루미늄 섭취량은 세계 보건기구에서 정한 안전기준 대비 19.5% 정도라고 한다. 체중 60kg 성인 기준 알루미늄을 매일 쌀 한 톨씩 먹어도 건강에 위해가 없다. 과거부터 알루미늄 냄비 같은 식기는 가벼운 무게에 열 전도율이 높아서 쉽게 녹슬지 않아서 널리 쓰였다. 이런 장점으로 알루미늄 재질 냄비와 일회용 용기 등이 많이 쓰이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선 식품 포장재 중간층, 커피 캡슐에도 쓰인다. 알루미늄 식기는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견고해지게 새 식기일 경우 물로 한번 끓여서 쓰는 게 좋다. 또한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벗겨질 수 있어서 금속 조리기구는 피하는 게 좋다. 알루미늄 노출을 줄이기 위해선 표면 피막이 손상되지 않게 해야 한다. 세척 시 부드러운 재질 수세미를 쓰면 된다. 또한 흠집 많은 알루미늄 식기는 미생물 번식 위험이 있다. 교체하는 게 좋으며 산과 염분이 많은 식품은 알루미늄이 녹아 나올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알루미늄 재질 같은 금속성 맥주캔을 써서 비어캔 치킨 요리는 안 하는 게 좋다. 비어캔 치킨 만들 때 맥주캔을 쓰면 내부, 외부 코팅으로 인해 가열 시 유해 물질이 식품에 배어 나올 수 있다....